전공/Database
[이론] 개체 - 관계 모델(E-R Model)
으녜
2022. 3. 8. 16:42
728x90
※ 개체 - 관계 모델
: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는 설계 기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개체 타입과 관계 타입 간의 구조 또는 개체를 구성하는 속성 등을 약속된 기호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한 모델
1. E-R MODEL 기호
2. 표현
1) 학번, 성명, 전공, 속성으로 구성된 "학생" 개체
- 학번, 성명, 전공의 세 가지 속성 중 학번은 학생들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기본키에 해당한다.
2)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
- 학생 개체와 과목 개체 간에 '수강' 관계가 있음을 표현
3) 관계의 종류에 따른 표현 방법
ⓐ 1 : 1 관계
- 고객 개체와 계좌 개체 간에 '거래' 관계가 있으며, 고객과 계좌는 1:1 관계를 가짐
- 한 명의 고객은 하나의 계좌와 거래가 이루어지고, 하나의 계좌는 한 명의 고객과 거래가 이루어짐
ⓑ 1 : N 관계
- 고객 개체와 계좌 개체 간에 '거래' 관계가 있으며, 고객과 계좌는 1:N 관계를 가짐
- 한 명의 고객은 여러 개의 계좌와 거래할 수 있고, 하나의 계좌는 한 명의 고객과 거래가 이루어짐
ⓒ N : M 관계
- 학생 개체와 과목 개체 간에 '수강' 관계가 있으며, 학생과 과목은 N : M 관계를 가짐
- 한 명의 학생은 여러 과목을 수강할 수 있고, 한 과목은 여러 학생이 수강할 수 있음
4 ) 정보 공학적 표현법
ⓐ 1 : 1 관계
ⓑ 1 : N 관계
ⓒ N : M 관계
ⓓ 선택적 관계
- 'O'는 선택적 의미로 고객 개체와 계좌 개체 간에 관계가 없을 수도 있고, 있다면 1:N 거래 관계가 있음을 의미
3. 데이터베이스 모델
: 개념적 설계 이후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는 논리적으로 구현 가능한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계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계층 데이터 모델 등이 있다.
1 ) 관계 데이터 모델
- 표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2차원 구조의 표(테이블)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구조가 단순하며 사용이 편리해 가장 많이 사용된다.
- N : M 표현 가능
Ex. '학번' , '성명' , '전공, '학년'을 속성으로 갖는 "학생" 개체를 관계 데이터 모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
학번 | 성명 | 전공 | 학년 |
083577 | 강희영 | 컴퓨터 | 3 |
072719 | 홍길동 | 토목 | 4 |
093505 | 김정미 | 컴퓨터 | 2 |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 망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레코드 타입 간 관계를 도형으로 표현
- 강사 개체와 학생 개체 간에 '지도' 관계 존재
- 강사 개체와 과목 개체 간에 '강의' 관계 존재
- 학생 개체와 과목 개체 간에 '수강신청' 관계 존재
3) 계층 데이터 모델
- 트리 구조로 표현하여 트리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부모-자식 관계, 즉 1 : N 관계를 나타낸다.
728x90